댓글쓰기
댓글쓰기
이슈검색어 전체보기 맨위로
설날 차례지내는 방법
설날의 의미
새로운 해가 시작되는 첫날 음력 1월 1일은 설날 이에요. 설날 아침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 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냅니다.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부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합니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 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 받습니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떡국으로 아침을 먹 습니다. 이렇듯 새해 첫날인 설날은 하루 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하고 들으면 일 년 내내 그러하고, 좋은 음식을 배부르게 먹으면 일 년 내내 배가 부 르다고 합니다.
설날에 하는 일
조선시대에 의정대신들은 모든 관원을 거느리고 대궐에 나가 새해 문안을 드리고, 전문과 표리(거 친 무명 또는 흰 명주)를 바치고 정전(왕이 임어 하여 조회를 하는 궁전)의 뜰로 나가 조하(조정에 나아가 임금께 하례함)을 올렸어요. 이 날 사당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라 하고 아이들 이 입는 새 옷을 세장이라고 하며 어른들을 찾아 뵙는 일을 세배라고 해요. 이 날 대접하는 시절 음식을 세찬(떡국)이라고 하 며, 또한 이에 곁들인 술을 세주(초백주, 도소주) 라 해요. 한편 사돈집 사이에는 부인들이 근친하는 뜻으로 하녀를 서로 보내어 새해 문안을 드리는데, 이 하 녀를 문안비라고 한답니다. 민가에는 벽 위에 닭과 호랑이의 그림을 붙여 액 이 물러가기를 빌고, 남녀의 나이가 불길한 일을 당한 자는 세 마리의 매를 그려 문설주에 붙인답 니다. 설날 꼭두새벽에 거리에 나가 맨처음 들려오는 소리로 1년간의 길흉을 점치는데, 이를 청참이라 고 해요. 또한 나무에 금·목·수·화·토를 새겨 장기쪽같이 만들어 이것을 던져서 자빠지고 엎어진 것을 보 아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를 점치는데 이를 오 행점이라 합니다. 남녀가 1년간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빗상자 속에 넣었다가 설날, 황혼을 기다려 문 밖 에서 태움으로써 나쁜 병을 물리칩니다. 설날부 터 3일동안은 길거리에 많은 남녀들이 떠들썩하 게 왕래하는데, 울긋 불긋한 옷차림이 빛나며, 아 는 사람을 만나면 반갑게 "새해에 안녕하시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돈을 많이 버시오" 등 좋은 일을 들추어 말하는 것을 덕담이라 한다.
차레상 차림시 주의사항
조리하기 전 몸 가짐을 단정히하며 정갈하고 정 성을 다해 조리합니다. 복숭아,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등은 차례상 에 올리지 않으며, 식혜, 탕, 면 등은 건더기만 사 용합니다
차레를 지내는 법
진설(進設)
북쪽(방위상 북쪽을 뜻하나 제사를 모시는 장소 의 형편상 북쪽을 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신위를 모시는 방향을 북쪽이라 함)에 병풍을 치 고 병풍 앞에 교의(神主나 혼백상자를 모신 의자) 를 모신 다음 제사 상에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립니다. 제수는 간소하게 하되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을 몇 가지를 더 곁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진설이 다 되면 고인의 사진을 교의나 제사상에 모시고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병풍 앞면에 붙입 니다.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향로에 꽂고 재배합니다. 왼쪽 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 사가 술을 따르고,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번에 나 누어 모두 따릅니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 주어 제자리에 놓게 하고, 제주는 재배합니다. 참신(參神)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합니다.
진찬(進饌)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밥))을 제상에 올립 니다.
헌다(獻茶) 왼쪽 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 부터 술을 받아, 먼 조상순으로 술을 올립니다.
개반(開飯) 집사가 떡국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립니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 조모순이며, 가정의례준칙 에서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 하고 있습니다.
삽시(揷匙) 집사가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에 담겨있는 숟 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 위에 가지런 히 걸쳐 놓습니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 을 보게 놓습니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 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 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 이 바람직합니다. 제주는 재배하며,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시는 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기립니 다.
철시복반(撤匙復盤) 떡국 그릇의 뚜껑을 덮고 수저를 거두어 세 번 굴 리고 시접에 놓습니다.
사신(辭神) 참가자 모두가 재배를 올리고 지방을 향로 위에 서 사릅니다.
철상(撤床) 모든 제사 음식을 물리는 것을 말하며, 제상의 위 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겨 물립니다.
음복(飮福)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 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차례 는 끝나게 됩니다.
글목록 게시판 최신글 최근댓글 가입하기
ⓒ Daum 카페앱 설치
게시판 최신글 최근 댓글 이미지
포청천(포근,청정,천 포청천(포근,청정,천 … … 내카페 내카페 가입하기 가입하기
설날 차례지내는 방법
포청천 12.01.21 조회 118 목록 크게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 이전글
설날 세배하는 법 다음글
Daum 로그인 PC화면 전체보기
실시간이슈
도르트문트 함부르크 1 10
진수현 2 18
로또532회 당첨번호 3 12
차례상 차리기 4 107
차례 지내는 순서 5 16
진양혜 6 19
허경환 여동생 7
카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건축물 중개해도 될까? (0) | 2013.02.23 |
---|---|
중개업소 사용인에 대한 4대보험 가입여부 판단 기준 (0) | 2013.02.14 |
중개보조원용역계약서 (0) | 2013.02.06 |
[스크랩] 4대보험 신고 배분약정 관계면 신고 안해도 무방 (0) | 2013.02.06 |
금전 거래 시 담보설정 어떤 것이 좋을까? (0) | 2013.02.02 |